in the grip of memory : Lee jinju

The poetic touch of fragile narratives

At first glance, Lee Jinju’s works exude a quiet sense of tranquility. Hands tenderly holding fragile objects, minimalist backgrounds that seem calm and grounded. But the more you look, the more her paintings reveal their emotional depth—a symphony of memory, trauma, and imagination unfolding before your eyes.

Exhibition view- Group Exhibition, Goodbye to Love- Conversation of all those whose lips are sealed, Marres, House for Contemporary Culture, Maastricht (1 October 2023 7 January 2024). Courtesy Marres, House for Contemporary Culture. Photo Rob van Hoorn.

Lee describes herself as a painter of "psychological landscapes." Her art dives into the depths of human emotion, bringing forth latent memories—those buried under the weight of time or suppressed by the mind’s defenses. Rather than offering answers, her work creates a space for viewers to confront these fragile narratives, to ask questions, and to look inward.

In the Middle of Life 생의 한가운데, 2022, powdered pigment, animal skin glue and water on unbleached cotton 216.5x116cm

One of her signature works, In the Middle of Life (2022), captures this interplay beautifully. A half-eaten slice of watermelon, a burnt incense stick, and precariously balanced wooden planks and stones sit together in unsettling harmony. These ordinary objects form a tableau of tension, as though caught in a moment outside of time. Within this fragile box-like structure, two figures cling to one another, their touch tender yet weighed down by the invisible burdens of shared memory.

The hands, so delicately rendered, seem to breathe with life. They evoke a quiet vulnerability, a meditation on isolation and connection. Around them, grass, twigs, and fragments of nature are meticulously painted, elevating the everyday into something sacred yet unsettling. These familiar elements, gathered in unexpected arrangements, resonate with dissonance—at once recognizable and alien.

All Names, 2018, 94x 122cm Korean Paint on Linen.

For Lee, the ordinary is never just ordinary. Her work transforms familiar objects and spaces into gateways to reflection and discovery. She explains, “What we see is inherently subjective and incomplete. Even the smallest clues can expand our vision into a web of thoughts, memories, and emotions.” Her shaped and dimensional canvases further push the boundaries of perception, inviting viewers to experience her art not just visually, but physically.

All images courtesy of the artist.

Lee’s paintings don’t simply depict; they immerse. They ask us to uncover the hidden narratives in everyday life, to see beyond the surface, and to embrace the stories waiting to be discovered. Through her world, the mundane becomes extraordinary, and the familiar becomes a mirror to our inner selves.

💬 What stories do you see within Lee Jinju’s delicate and memory-filled world?


이진주의 작품을 처음 마주하면 조용한 평화로움이 느껴집니다. 섬세하게 물체를 감싸고 있는 손, 미니멀한 배경 속에서 담담히 자리 잡은 장면들. 하지만 조금 더 가까이 들여다보면 그녀의 작품은 기억, 트라우마, 그리고 상상력이 엮인 정서적 복잡성을 보여주는 심포니처럼 다가옵니다.

이진주 작가는 스스로를 “심리 풍경화”를 그리는 화가로 묘사합니다. 그녀의 예술은 인간의 깊은 감정을 탐구하며, 잠재된 기억들을 떠오르게 합니다. 시간의 무게 아래 묻혀 있거나, 마음이 방어적으로 억누르고 있던 기억들 말입니다. 그녀의 작품은 관객에게 연약한 서사들과 마주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며, 명확한 답변을 주기보다는 내면을 들여다보는 질문을 남깁니다.

작가의 대표작 “In the middle of life 생의 한 가운데, 2022”는 이러한 그녀의 예술적 접근 방식을 극명히 보여줍니다. 작품 속에는 먹다 남은 수박, 타다 남은 향초, 그리고 위태롭게 균형을 잡고 있는 나무판자와 돌이 놓여 있습니다. 이 평범한 사물들은 어색한 긴장감을 형성하며, 마치 시간과 공간이 어긋난 순간 속에 고정된 듯한 느낌을 줍니다. 하지만 그 안에 자리한 인물들은 서로를 부드럽게 안고 있으며, 깊은 사색과 고립의 감정을 품고 있습니다.

그녀의 작업 방식은 그녀의 서사만큼이나 섬세합니다. 전통 한국 안료를 사용하여 층층이 쌓아 올리는 작업은 그녀의 주제를 더욱 무겁게 느끼게 합니다. 미니멀한 배경은 손, 나뭇잎, 자연의 조각들 같은 물체들이 중심이 되어 그 상징적 울림을 극대화합니다. 각각의 요소는 갈망, 연약함, 혹은 잊혀진 순간들을 떠올리게 합니다.

작가는 말합니다, “우리가 보는 것은 매우 주관적이고 불완전합니다. 가장 작은 단서조차 우리의 시야를 확장해 다양한 생각, 기억, 감정으로 이어질 수 있죠.” 그녀는 이러한 시각적 경험이 관객에게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하길 바랍니다.

또한, 그녀의 캔버스는 단순히 평면적인 이미지에 그치지 않습니다. 입체적이고 형상화된 캔버스를 통해 관객은 단순히 작품을 “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그 공간 속에 존재하는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이진주의 작품은 관객에게 질문합니다. 평범한 사물 속에 숨겨진 낯설고도 깊은 서사를 발견할 준비가 되었나요? 그녀의 세계는 관객의 해석을 기다리며, 우리 각자가 가진 기억과 감정을 새롭게 풀어내는 여정을 제안합니다.

Previous
Previous

Whimsical World of In-Between Spaces : Mak2

Next
Next

The Curious World of : Feelings